닥인포

엑셀 절대값 함수 ABS 무엇인가?

엑셀 | 2018년 08월 09일 13시 40분
엑셀 절대값 함수를 구하는 것은 ABS 함수다. 영어로 absolute value 라고 부르며, 절대값은 실수에서 양의 부호 + 와 음의 부호 - 를 뺀 값을 나타내는 것이다. 절대값에 대해서 조금 더 설명을 덧붙이자면 음, 양의 수는 원점 0에서의 방향을 가진 변위의 크기를 나타내게 된다. 가령 방향을 무시하고, 단지 변위의 크기만을 다루는것이 절대값이다. 예를들어 -3=3, +1=1 이런식으로 되는 구조가 절대값 이다. 엑셀 절대값은 이와 같다.

엑셀 절대값 함수 ABS 사용 예제

1) 이렇게 까지 설명했는데, 잘 이해가 되지 않는다면 예제를 통해서 완벽하게 이해하길 바란다. 예제를 보면, 실수 와 절대값을 구분해놨다. [caption id="attachment_96" align="aligncenter" width="449"][사진 = 엑셀 절대값 함수 ABS(C)] [사진 = 엑셀 절대값 함수 ABS(C)][/caption]왼쪽이 실수, 오른쪽이 절대값을 나타내는 것이다. [ads-m1] 2) 절대값에 마우스 커서를 가져다 대고, '수식 -> 수학/삼각 -> ABS' 함수 선택을 한다. [caption id="attachment_97" align="aligncenter" width="594"][사진 = 엑셀 절대값 함수 ABS(C)] [사진 = 엑셀 절대값 함수 ABS(C)][/caption]3) 그럼 함수 인수 팝업창이 나타나게 되는데, ABS Number 값에 실수 열을 선택해준다. 마우스나 키보드를 이용해서 입력해도 상관 없다. [caption id="attachment_98" align="aligncenter" width="602"][사진 = 엑셀 절대값 함수 ABS(C)] [사진 = 엑셀 절대값 함수 ABS(C)][/caption]-200 의 실수 값이 입력과 동시에 절대값 200으로 바뀌는걸 확인할 수 있다. 4) 열을 선택해서 드래그앤 드롭을 이용하여 아래쪽으로 끌어서 내려보자. 그럼 복사 붙여넣기 값이 자동으로 되는데, - 값이 전부다 + 절대값으로 변경되는걸 확인할 수 있다. [caption id="attachment_99" align="aligncenter" width="366"][사진 = 엑셀 절대값 함수 ABS(C)] [사진 = 엑셀 절대값 함수 ABS(C)][/caption]5) 이번에는 함계를 구해보겠다. 엑셀 절대값 함수 ABS는 산수 계산도 가능하다. 계산결과가 -700 이지만 절대값은 700 으로 나타나는걸 확인할 수 있다. [caption id="attachment_100" align="aligncenter" width="716"][사진 = 엑셀 절대값 함수 ABS(C)] [사진 = 엑셀 절대값 함수 ABS(C)][/caption]6) 나머지 셀을 한 번에 바꿔보고 싶다면 마찬가지로 드래그앤 드롭으로 아래쪽으로 마우스를 이동해보도록 한다. 정확히 이야기하면 복사 붙여넣기의 개념이다. [caption id="attachment_101" align="aligncenter" width="428"][사진 = 엑셀 절대값 함수 ABS(C)] [사진 = 엑셀 절대값 함수 ABS(C)][/caption]엑셀 절대값 함수 ABS는 이처럼 양의 부호 +와 음의 부호 - 를 뺀 나머지의 값을 자동으로 변환해주는 역할을 해준다. 수학적인 개념이 없다고 해도, 엑셀에서는 대부분 지원하기 때문에 괜찮다. 다음시간에도 엑셀 함수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.

도움이 되는 글

엑셀 round 함수 사용해서 반올림하기 엑셀 텍스트 나누기 매우 쉽다 엑셀 영어 한글 자동변환 설정 해제하기

© Copyright 2018 - 2025 닥인포. All rights reserved.